Leejin Kim

[Publication] New Media Art 2020

EDITOR-IN-CHIEF / ART DIRECTOR: Leejin Kim
EDITORS / DESIGNERS: Seulki Choi, Yeju Keum

Produced by CICA Press, Gimpo, Korea
ISSN 2672-0345 05

Photographs and contents are copyrighted by the featured artists.

© 2020 CICA Press, Gimpo, Korea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or mechanical, including photography, recording or any informational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out prior permission from the publisher.

CICA Museum
www.cicamuseum.com

Cover Images front © Khalil Charif, Cannot, 2019; back © Ahree Song, Contained Time, 2019

CICA Press, an online and print media issued by CICA Museum, is media for art and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culture makers in spirit. CICA Press supports “young” culture makers, who have passion, critical thought, and desire for creative and experimental expression, regardless of their age and background. We have believed that our inexhaustible passion for art and expression and a reckless rebelliousness can change the world.
CICA Press deals with visual art and culture from perspectives of local artists. To overcome uniform dissemination of contemporary art from the “center of Art,” we aim to introduce local artists and cultures from different regions to global audiences and connect them with each other. CICA Press provides online and offline spaces to create a global network among local artists, designers, audiences, and communities so they can make, appreciate, and live in art in their regions and cultures.
CICA Art Now 2020 features 43 selective artists from the CICA Contemporary Art Solo Show Series and CICA Young Korean Artists. Featured artists include Arin, Yoon Bae, Lesley Bunch, Khalil Charif, Won Young Chang, Tsai Chih-Fen, Iljun Choi, Mary Crenshaw, Jiseon Gong, Guk Hwa, Inhee Jang, Jae Won Jung, Dongwook Kim, Eun Kim, Hanul Kim, Jisu Kim, Moonbin Kim, Yeonhong Kim, Yewon Sophia Kim, Jungah Kwon, Hye Jean Lee, Hye ju Lee, Junwon Lee, Tiffany Lee, Ye-ji Lee, Nicole Lenzi, Mark and Sol, Jooyoung Park, rareH, Matt Sheridan, Bora Shin, Seo Young Shin, Terry Silvester, Sarah Sipling, Ahree Song, Minjung Sun, Younghyun Sun, Unyon Yang, Yun Seok Yang, Seung Hee You, Jane Venis and Hannah Joynt.

Now available on Amazon Kindle:

*Free Book Promotion
Wednesday, September 16, 2020, 12:00 AM PDT – Sunday, September 20, 2020, 11:59 PM PDT 

Digital Body: New Media Art 2018 Published

[Publication] Digital Body: New Media Art 2018

[신간] 디지털 바디: 뉴 미디어 아트 2018

Produced by CICA Press, Gimpo, Korea
ISBN 979-11-88671-04-5 03600
Size: 176*250 mm
188 Pages

EDITOR-IN-CHIEF / ART DIRECTOR
Leejin Kim 김리진

EDITOR / DESIGNER
Heewon Bae 배희원

EDITOR
In Hye Seo 서인혜

TRANSLATORS
Doohyun Lee 이두현
Insil Choi 최인실
Minyoung Lee 이민영
Hyunju Kim 김현주

REPORTER
Choi A Rah 최아라

FEATURED ARTISTS

Justyna Adamczyk
Maryamsadat Amirvaghefi
Alfredo Ardia
Whitney Bandel
D S Chapman
Pierre Chaumont
Jessica Dolence
Ben Ehrmann
Kun Fang
Eona Jiawei Gao
Inbar Hagai
Mary Hanlon
Maggie Hazen
Peter Hriso
Morgan Jenks
Daniel Johnson
Kevin H. Jones
Norman Klein & Margo Bistis
Alyona Larionova
Gili Lavy
Justin Lincoln
Wayne Madsen
Kushtrim Mehmeti
Tracy Miller-Robbins
John Mutter
Vasilios Papaioannu
Mikey Peterson
Pat Reynolds
Mike Richison
Anatoly Rudakov
Elissavet Sfyri
Matt Sheridan
S/N (Jennida Chase and Hassan Pitts)
Christian Tablazon
Kamil Tatara
Jessica Tsang
Leah Uchitel
Jeffrey Yip
Taylor Yocom
Kay Yoon
Liliya Zalevskaya

Intro

Artists’ works and thoughts always make me ponder the subject matters, appreciate and celebrate life on a deeper level. Like a constellation in the sky, artists unfold each of their universe once I quietly look into the glimmers in the dark. Digital Body: New Media Art 2018 features 43 new media artists worldwide who passionately represent and symbolize each of their own realities. I hope our readers plunge into the artists’ worlds and celebrate the new culture in this digital era.

아티스트들을 접하면 접할수록 그 깊이감에 감탄한다. 그들의 작품과 생각들을 접하며 나는 삶을 보다 깊이 음미하는 법을 배웠다. 밤하늘에 무수한 별처럼, 적막 속에서 작은 빛을 가만히 바라볼 때 비로소 그들은 그들의 세계를 연다. “디지털 바디: 뉴 미디어 아트 2018″은 43명의 전 세계 뉴 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 세계를 소개한다. 그들은 각자의 현실을 열정적으로 재현해내고 상징화한다. 독자가 아티스트들 각자의 고유의 세계를 접하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화를 향유하는 장이 되었으면 한다.

– 김리진

‘디지털 바디: 뉴 미디어 아트 2018’는 CICA 미술관 김리진 아트디렉터가 기획한 ‘New Media Art’ 시리즈 북의 세 번째 호로, 전 세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43명의 뉴미디어 아티스트 그룹과 평론가들의 영어 원문과 한글 번역본 및 2017 제1회 CICA 뉴 미디어 아트 국제 컨퍼런스 리뷰를 싣고 있다.

“As artists, in the end, meaning matters to us….but as we make our work we often hold meaning in suspension as the signal of bits or analog information passes through the lines of art production.”
“예술가로서, 의미는 결국 우리에게 중요한 것이 된다…그러나 비트의 신호나 아날로그 정보가 예술제작의 길을 통과함에 따라 작품을 만들 때 우리는 종종 의미를 미결로 남겨둔다.”

– Justin Lincoln, ” Artist as Noise Source”

“Death is a radical and inevitable phenomenon that all surface once dominated one’s body is broken down into points. Line is a symbolic icon of essence that distinguishes life and death.”
“죽음은 몸을 지배하고 있던 표면이 점들로 해체되는 근본적이며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선은 삶과 죽음을 구별하는 본연에 대한 상징적 아이콘이다.”

– Kay Yoon, “1. Death and symbol”

“영화 속 여성을 향한 폭력은 모든 시기 모든 장르 속에 존재해 왔다…폭력은 엔터테인먼트라는 명목으로 최소화되어 멋진 맞춤옷으로 입혀진 황금 동상으로 관객에게 선보여진다.”
“Violence towards women in film lives in every genre from every decade… It is draped in couture and handed smooth golden statues, minimized because it exists within the boundaries of entertainment.”

– Mary Hanlon, “The Veritas Technique”

“…The amount of visual content that we are subjected to through our internet usage practically demands swift thoughtlessness: otherwise we would all keel over trying to figure out the cultural and personal ramifications of some Honey Boo Boo gif…Sitting through the series, a viewer may begin to uneasily wond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pink painted man banging his head on the wall and myself, mindlessly plucking out chin hairs in front of the mirror late at night?”
“…우리가 인터넷 서핑을 통해 받아들이는 수많은 시각적 정보들은 사실상 우리에게 신속한 부주의함을 요구해. 그게 아니면 우리는 짤 (Honey Boo Boo gif)의 문화적 및 개인적 파급력에 압도되어 버리겠지… 이 시리즈를 바라보면서 관람자는 핑크색으로 뒤덮은 이 남자가 벽에 자신의 머리를 치는 모습과 한밤중에 턱에 난 털을 무념무상으로 뽑는 자기 자신이 무엇이 다른가에 대한 거북한 질문을 던지게 된다.”

– Joy Miller’s review on Ben Ehrmann’s “Pink Face Series”

“The scream is not yours. It is not you who speaks; it is your countless ancestors. It is not you who craves; countless generations of ancestors crave through your own heart.”
“비명은 네 것이 아니다. 말하는 것은 네가 아니다. 네 수많은 조상이다. 네가 갈망하는 것이 아니다. 셀 수 없이 많은 세대의 조상이 네 마음을 통해 갈망한 것이라.”

– Elissavet Sfyri, “Practicing”

‘디지털 바디: 뉴 미디어 아트 2018’는 국내 주요 서점 및 해외 아마존 사이트에서 곧 만나볼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미술관 홈페이지 (www.cicamuseum.com) 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문의: cicamuseum.com/contact)

디지털 컬쳐 Digital Culture (2016년 7월 22일 – 8월 7일)

디지털 컬쳐
Digital Culture: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n Digital Culture

CICA 미술관
2016년 7월 22일 – 8월 7일

오프닝 파티: 7월 23일 오후 5시
Opening Party: 5pm July 23, 2016

참여 작가 Featured Artists:

Amr Alngmah , Yuanliang Sun, Malgorzata Budzynska, Barbara Bryn Klare, Steven Hughes, Annette Elizabeth Fournet, Neil Daigle Orians, Erin Smego, McArthur Freeman, Helen Zajkowski, Sarah Sweeney, Jie Xu, Rachel Sanfilippo, Thomas Graff, Oscar Joyo, Jason Lahr, Diana Laurel Caramat, Kellie Spano, Samuel Dominguez, PlantBot Genetics: Wendy DesChene + Jeff Schmuki, Sean Smith, Kimberly Ruth, Matthew Keff, Roc Pares, Woo Jae Lim, Peter Christenson, Christopher Thompson, Lynn Bianchi, H. Cecilia Suhr, Intermedia, Esmeralda Kosmatopoulos, Kathryn Dresner, Brian Schrank, David Van Ness

Curated by Leejin Kim

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렛 등 디지털 디바이스의 대중화는 현대인들의 일상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이는 단순한 취미나 행동의 변화를 넘어서 새로운 사고와 언어, 문화를 창조해내고 있다.

디지털 문화는 예술의 철학적 개념과 테크닉, 시스템에도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작가가 손수 만든 작품은 하나 밖에 없는 작품으로서 가치를 지니고 이를 바탕으로 예술 시장이 형성되어 왔다. 하지만 디지털 작품은 작가와 작품 사이에 디지털 매체라는 매개물이 존재하며, 이 매체가 가지는 특성이 기존 매체에 비해 작품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작품은 편재성을 지니는데, 즉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동시에 존재 가능하며 무한히 재생산될 수 있다.

CICA 미술관에서 7월 22일에서 8월 7일까지 열리는 “디지털 컬쳐(Digital Culture)” 국제전에서는 34명의 국내외 작가들의 디지털 아트, 사진, 설치, 영상 작품을 소개한다. 특히 Yuanliang Sun, Steven Hughes, McArthur Freeman, Sarah Sweeney, Jason Lahr, H. Cecilia Suhr, Brian Schrank, Peter Christenson 등 미국 미술대학 교수들이 다수 참여하여 국제적 감각의 최신 디지털 아트를 소개할 예정이다. David Van Ness는 자신의 얼굴을 다수 3D 스캔하여 디지털 자소상을 만들었다. 그의 작품은 디지털 파일 및 다수의 이미지로서 존재한다. 한편 Brian Schrank 교수는 3D 아트 게임을 통하여 사회문제를 재조명한다. 관객은 애플 워치와 가상 현실 디바이스를 통해 작품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한편 Katy Dresner는 침대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아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7월 23일 5시에는 전시 오프닝 파티가 있을 예정이며 국내 및 해외 작가들이 참석 예정이다.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예약 후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문의: , 031.988.6363, 수-일 10:30 AM-5:30 PM)

Click to open the catalog

Photography Exhibition: Hipster & Otaku

Photography Exhibition: Hipster & Otaku

현대사진전: 힙스터 & 오타쿠

 

CICA Museum

February 3, 2pm – February 21, 2016

 

“힙스터 (Hipster)”라는 단어는 1990년대 이후 중산층 보헤미안적 삶을 추구하는 젊은 계층을 지칭하며 서양의 각종 미디어와 광고를 통해 주목받게 되었다. 힙스터들은 흔히들 진보적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메인스트림 소비 문화나 큰 기업에 반발하며 자신들의 “개념있음”을 과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빈티지 패션, 인디 음악 등 트랜디함과 스타일리시함 또한 “힙스터”들의 중요한 특징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트랜드를 반영하여 대형 브랜드들은 앞다투어 “힙스터” 스타일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반면, “오타쿠 (Otaku)”는 일본에서 유래한 단어로, 본래 “집”을 의미하며 방에만 틀어박혀 현실보다는 애니메이션, 게임, 아이돌 같은 문화에 빠져사는 사람을 지칭한다.  본디 이 단어는 사회 부적응자라는 부정적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미디어를 통해 점차 “매니아 (mania)” 와 같은 맥락으로 어떠한 것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갖고 있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점차 긍정적인 의미로서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다. 오타쿠 문화의 중요한 특징은 미디어 및 제품이 인간관계를 대체하는 현상인데, 연애 감정이나 우정과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들 마저도 상품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의 극단적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힙스터와 오타쿠는 미국과 일본이라는 전혀 다른 문화에서 각각 발생한 단어로 전혀 다른 맥락 속에서 발전한 신생어들이지만 소비지상주의적 포스트 모던 사회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표상이라는 점에서 묘하게도 공통 분모가 있다. 또한 “마이너함”과 “메이저함” 사이에서 “쿨함”이 “구림”이 되고 “구림”이 “쿨함”이 되어가는 권력 투쟁과 문화적 역학관계를 지켜보는 일은 꽤나 흥미로운 일이다.

CICA미술관에서 열리는 힙스터 & 오타쿠 현대사진전은 15명의 국내외 아티스트 – LaTurbo Avedon, Kami Bugnet, 최서희 (Seohee Choi), Gian Cruz, Melissa Eder, Tomer Eliash, Eric J. Glasthal, Timothy Hutchings, Blond Jenny, 이예섬 (Lee Yeseom), Jee Lee, Maya Puskaric, Liam Racine, Joseph Sobel , Rachel Wolfson의 작품을 전시한다. 그들이 활동해온 지역, 혹은 문화에 따라 작품 속에서 “오타쿠” 혹은 “힙스터”적인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속에서 현대 포스트모던 사회를 살고 있는 젊은이들의 문화 (Youth Culture)적 표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The term hipster, which refers to a subculture of middle-class bohemian youth, has been frequently used by the media since the 1990s. Hipsters tend to show off their intelligence and their progressive political views while rejecting mainstream consumer culture. They are also known to be stylish and trendy and to enjoy vintage fashion and indie music. Ironically, mainstream brands are now rushing to launch numerous products that reflect their style.

The Japanese term otaku refers to youth who shut themselves in their houses and are addicted to Japanese manga, games, or idol stars. The term was first used negatively to indicate a social misfit, but now, it has started to appear in the media in a more positive context to describe an enthusiast who has a deep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omething. In otaku culture, the media and products replace human relationships, while commercializing personal feelings such as love and friendship.

Even though these terms originate in different cultures and within different contexts, both suggest new lifestyles in consumerist postmodern societies. In addition, there is a constant power struggle between major and minor cultures and subversions of “being cool.”

CICA museum’s photography exhibition, Hipster & Otaku, features 15 international artists, including LaTurbo Avedon, Kami Bugnet, Seohee Choi, Gian Cruz, Melissa Eder, Tomer Eliash, Eric J. Glasthal, Timothy Hutchings, Blond Jenny, Lee Yeseom, Jee Lee, Maya Puskaric, Liam Racine, Joseph Sobel, and Rachel Wolfson. “Hipster” or “otaku” elements are rooted in their works and reflect the cultures and regions they are from. These works are emblems of postmodern youth culture.

 

참여작가 Featured Artists:

LaTurbo Avedon

Kami Bugnet

최 서 희 (Seohee Choi)

Gian Cruz

Melissa Eder

Tomer Eliash

Eric J. Glasthal

Timothy Hutchings

Blond Jenny

이 예 섬 (Lee Yeseom)

Jee Lee

Maya Puskaric

Liam Racine

Joseph Sobel

Rachel Wolfson

 

Curated by 김 리 진 (Leejin Kim)

[Book]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 속삭임 (2015)

큐레이터 김리진 | 에디터 김리진, 유경진 | 번역 김리진, 유경진, 오수경 | 판형 신국판 변형(223*300) | 인쇄 칼라8도 UV | 장정 무선 | 페이지 108쪽

가격 15,000원 | 초판 발행일 2014년 4월 17일 | 분야 예술

ISBN 979-11-953952-1-7 (03680)

현대미술이란 속삭임과도 같다. 거리로 뛰쳐나가 목 놓아 외치는 액티비스트들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지는 거대한 담론들과 광기, 큰소리가 이기는 요즘 사회에서 아무도 찾지 않는 갤러리에 숨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아티스트들은 어찌 보면 겁쟁이들 같다. 그리고 광고와 언론, 다양한 미디어에서 쏟아내는 큰 목소리에 익숙해진 우리는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점점 낯설다.

하지만 속삭임에는 은밀함이 있다. 진솔함이 있다. 당신이 어젯밤 몰래한 일을 보통 거리에서 소리치지는 않는다. 가장 친한 친구에게 혹은 연인에게 속삭일 것이다. 이렇듯 현대미술을 볼 때 관객은 작가의 어찌 보면 친절하지 않은 작은 중얼거림에 귀 기울여야 한다. 작가는 자신의 비밀스러운 혹은 진솔한 생각을 속삭임보다도 더 알아듣기 힘든 언어로 풀어낸다. 그 흔적을 더듬어가는 과정에 현대미술이 가져다주는 작은 쾌감이 있다.

왜 그들의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하는가. 그들이 대단해서? 거장이어서? 물론 유명하니까 그들의 말, 거취 하나하나가 중요하다는 논리도 부정할 수는 없는 현대미술의 단면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작은 목소리들은 결국 사회 모든 개개인의 작은 목소리의 표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들을 통해 관객은 ‘나’의 작은 목소리에 결국 귀 기울이게 된다. 현대 미술의 시각적 언어는 우리가 쓰는 언어와는 다르게 거울과 같은 면이 있다. 상대방의 작품을 해석한다는 것은 결국 ‘나’를 드러내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결국 작품을 본다는 것은 나 스스로를 바라보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 김리진, 서문: Across Voices – 속삭임에서

Contemporary art is like a hushed voice. It’s not an activist, taking to the streets to shout out loud to the world, nor is it a fanatic discourse, resonating through social media. We all know that the loudest voices tend to win out, and in this sense, artists might be considered cowards, preferring to hide in empty gallery spaces, mumbling their own stories to themselves. The audience accustomed to the loud voices, the voices of the media and advertisements, may not feel comfortable listening to the low voices of artists.

However, low voices are personal. Instead of the shout we use anonymously on the street, we use a whisper to impart words to a close friend or a lover. And when viewing art works, we have to listen for the artist’s mumbling, which can be hard to understand. Artists like to tell their stories in their own secret languages, more convoluted even than actual mumbled words. But there is a thrill to be found by following in their footsteps and deciphering their meaning.

And why do we need to listen to these hushed voices in the first place? Because they belong to famous artists? “Great” artists? Of course, there are many who pay attention to artists on account only of their fame. But, more importantly, these hushed voices are symbols of the voice of societies. By understanding artists’ voices, we begin to listen to our own. Unlike verbal language, the visual language of contemporary art acts as a mirror; we often reveal ourselves through our interpretation of art. In this sense, seeing a work of art becomes the equivalent of seeing one’s own self.

“Across Voices” by Leejin Kim

 

책소개

About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속삭임”

뉴미디어 아트란 새로운 매체 기술을 아트에 접목시킨 분야를 통칭하며, 예술의 개념, 시장, 교육 및 전반적 시스템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의 ‘New (새로움)’이라는 단어의 자체의 상대성이 시사하듯이, 뉴미디어 아트는 각 시대에서 ‘새롭다’고 여겨지는 기술과 끊임없이 접목하며 발전해왔다. 뉴미디어 아티스트가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현대 아티스트에게 있어 그들의 삶을 둘러싼 모든 것들이 그들의 현실을 표현할 수 있는 작품의 재료 및 소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은 작품을 단지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서가 아닌, 기존의 작품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에 도전하는 여러 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된 영상, 소셜 미디어,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은 많은 작가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속삭임”은 CICA 미술관 김리진 아트디렉터가 큐레이팅한 “Across Voices – 속삭임 (2015. 3. 21 – 6. 21)” 전시와 연계하여 출판되었다. 현시점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국내외의 뉴미디어 아티스트: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Norberto Gomez,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정정주, 하병원, 김준성, 신이피, 김리진의 작품과 그들의 진솔한 생각을 담음으로써 2015년 뉴미디어 아트의 단상을 담고자 하였다. 한글 영어 동시 수록.

New media art utilizes new media technology to create art. As the term “new” in new media art indicates how such art changes relatively with “newness,” new media art has constantly incorporated technologies considered “new” at the moment. The reason that new media artists are interested in new media technology is that contemporary artists look for their materials and subject matters in their daily lives, and they use these to express their realities. New media technologies are not only tools for work, but they also contain crucial features that may subvert philosophical concepts of “Art” and artworks. In addition, new media, including video, social media,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have become essential tools for communication these days, and have opened up new possibil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the audience.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wa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ion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 속삭임,” organized by Leejin Kim, an art director at CICA Musuem, Gimpo, Korea, March 21 – June 21, 2015. This book features works and truthful voices of new media art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Norbeto Gomez Jr.,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Jeong-ju Jung, Byeongwon Ha, Junsung Kim, Sin ifie, and Leejin Kim. By displaying their works and thoughts, we would like to highlight a cross section of New Media Art in 2015.

 

참여 작가

Features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Norbeto Gomez Jr.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정정주 Jeong-ju Jung

하병원 Byeongwon Ha

김준성 Junsung Kim

신이피 Sin ifie

김리진 Leejin Kim

 

저자 소개

About curator & editors

김리진 (큐레이팅, 편집, 번역)

김리진은 뉴미디어 아티스트겸 시각연구가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조소를 전공하고 미국 팬실베니아 대학원에서 뉴미디어와 조소를 공부하였다. 이후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에서 Media, Art, and Text 전공으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그녀는 뉴욕, 런던, 필라델피아, 센프란시스코, 리치몬드, 서울 등에서 전시를 가졌으며, 3D 및 믹스미디어 애니메이션 조각, 인스톨레이션, 웹 아트, 뉴미디어 아트 분야의 작품, 집필활동 및 큐레이팅을 하고 있다. 상명대학교와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에서 미술전공 과목 및 연합과목들을 가르쳐왔으며 현재 CICA 미술관에서 아트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유경진 (편집, 번역)

문화에 대한 열정이 넘치는 학구파 컴퓨터 공학도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네이버에서 근무하다가 현재는 메릴랜드 대학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Leejin Kim (curator, editor, & translator)

Leejin Kim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researcher working on new media art and visual & cultural studies. Leejin received her BFA in Sculptur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MFA in Sculpture and New Media from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her PhD in Media, Art, and Text from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Her works have been exhibited in New York, London, Philadelphia, Richmond, and Seoul, Korea. Leejin has taught art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at Sangmyung University,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She now works as an art director at CICA Museum.

Kyungjin Yoo (editor & translator)

Kyungjin is a computer scientist who loves art & culture.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worked at Naver Corp. Now he is pursuing his PhD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목차

Contents

C.A.N.을 소개합니다 …………………………………………. 8

About C.A.N.

목차 …………………………………………. 9

Contents

서문 …………………………………………. 10

Intro

참여 작가를 소개합니다 …………………………………………. 12

Featured Artists

맷 캐년, “노트패드” …………………………………………. 14

Matt Kenyon, “Notepad”

헤이디 쿠마오, “떠남” ……………………………………………… 20

Heidi Kumao, “Egress”

사라 네스빗 “이주” …………………………………………. 32

Sarah Nesbitt, “Migration”

저스틴 링컨, “스트로보” …………………………………………. 36

Justin Lincoln, “The Stroboscope”

라터보 아베돈, 온라인 아바타 아티스트 …………………………………………. 43

LaTurbo Avedon, an Artist and Avatar Living Online

노베르토 고메즈, “나는 부르클린에서 작품을 하지 않겠다!” ………………………………….. 54

Norbeto Gomez Jr., “I Will Not Make Art in Brooklyn”

정정주, 시선, 공간, 움직임 …………………………………………. 59

Jeong-ju Jeong, Gaze, Space, Movement

하병원, “시차” …………………………………………. . 66

Byeongwon Ha, “Parallax”

김준성, “고고해학” …………………………………………. 70

Junsung Kim, “Archeology”

신이피, “소금도시” …………………………………………. 82

Sin ifie, “Salt City”

김리진, “꽃미남과 엘프” …………………………………………. 90

Leejin Kim, “Kot-mi-nam & Elf”

저작권 및 감사의 말 …………………………………………. 103

Credits & Thanks

 

***한국 주요 서점에서 곧 만나실 수 있습니다.

*** Will be available at major book stores in Korea soon. 

온라인 CICA 스토어에서 구매하기

Now available at online CICA Store

Across Voices – 속삭임: Video/New Media Art Group Show

전시 페이지: http://cicamuseum.com/exhibition-across-voices

2015년 3월 21일부터 6월 21일까지 CICA 미술관에서 선보이는 “Across Voices – 속삼임”에서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영상 및 뉴미디어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참여 작가는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Norberto Gomez, 정정주, 하병원, 김준성, 신이피, 김리진으로, 모마 (MoMA)와 시그래프 (SIGGRAPH), 구겐하임 펠로우쉽 (Guggenheim Fellowship)등을 통해 소개되는 등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작가들이 참여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작품뿐만이 아니라 작가의 생각을 담은 인터뷰 및 에세이를 소개함으로써 관객과 아티스트간의 간극을 줄이고 서로의 소통을 돕고자 하였다. 이는 4월 초 책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 속삭임”으로 출판될 예정이며, 주요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Across Voices,” the group show at CICA Museum from March 21 to June 21, 2015, features video and new media artis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Korea. Featuring artists are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Norberto Gomez, Jeong-joo Jeong, Byeongwon Ha, Junsung Kim, Sin ifie, and Leejin Kim. Their works have been introduced internationally, including MoMA, SIGGRAPH, and Guggenheim Fellowship. Their interviews and essays will be also introduced along with their works in this show to help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their audience. In early April, the book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will be published and will be available at major bookstores in Korea.

Matt Kenyon

“내가 미디어와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작품을 하는 이유는 내가 그것들과 친숙하고 그것들이 발휘하는 능력을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내가 미디어와 테크놀로지를 싫어하고 그것들이 가진 힘을 두려워하기 때문이기도 하죠.”

-맷

젊은 시절 “미디어를 싫어하지 말고 미디어가 되어라”는 펑크로커 Jello Biafra의 말이 그에게 영감이 되었다는 맷 캐년, 디트로이트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시건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작품은 FILE Prix Lux Art prize를 수상하였으며 VIDA 7.0 Art and artificial life completion에서 1등상을 수상하였고, 뉴욕의 MoMA와 Exit Art, 독일 올덴버그의 The Edith Russ Site for Media, 영국 리버풀의 The Foundation of Art and Creative Technology,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의 시그래프 (SIGGRAPH) 아트 갤러리에서 전시되었다.

 

“I like to work with media and technology because (a) I am familiar with them and like the power they hold, and (b) I hate them and I am afraid of the power they hold.”

– Matt

Early punk rockers’ DIY approach to music and culture was inspirational to Matt as a younger artist. Matt is a new media artist and educator based in the Metro Detroit area of Michigan. Matt’s work received the distinguished FILE Prix Lux Art prize as well as first prize in VIDA 7.0 Art and artificial life completion. His work has been shown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NYC, Exit Art in NYC, Science Gallery, Dublin Ireland, The Edith Russ Site for Media, Oldenburg, Germany; The Foundation of Art and Creative Technology, Liverpool, England; SIGGRAPH Art Gallery, San Diego, California.

 

Heidi Kumao

“일상의 오브제(Objects)로 만든 조각 받침대 위로 투사된 겹겹의 영상을 통해 시각적 내러티브가 펼쳐지죠…”

– 헤이디

헤이디의 영사된 네러티브 시리즈는 육체적으로 극한으로 고립되고 소외되었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그녀는 구겐하임 파운데이션, 크리에이티브 캐피탈 파운데이션, 뉴욕 아트 파운데이션, AAUW(American Assn. of University Women), 미동부 파운데이션에서 연구 장학금을 받았다. 그녀의 작품은 미국 내외에서 전시되었으며, Artforum, ArtPapers, 와 Sculpture 매거진에 소개되었다. 그녀의 최신작 “Swallowed Whole”은 2015년 앤아버 필름 페스티벌, 블랙 마리아 필름 페스티벌, 트리키 국제여성 필름 페스티벌, 아틀란타 필름 페스티벌에서 상영될 계획이다. 그녀는 현재 미시건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These visual narratives unfold through multiple layers of video projected onto the surfaces of everyday objects that I select as sculptural props…”

– Heidi

Heidi’s series of projected narratives trace personal experiences of extreme physical confinement and isolation. She has received fellowships from the Guggenheim Foundation, the Creative Capital Foundation, New York Foundation for the Arts, AAUW (American Assn. of University Women),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and the Mid-Atlantic Arts Foundation. She has exhibited her work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nd her work has been reviewed in Artforum, ArtPapers, and Sculpture Magazine. Her film “Swallowed Whole” will be featured in the Ann Arbor Film Festival, Black Maria Film Festival, Tricky Women International Animation Film Festival, and the Atlanta Film Festival in 2015. She teaches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Sarah Nesbitt

사라는 사람들이 습득한 정보에 대한 그들의 태도와 행동양식과 관련하여, 역사가 어떻게 사용되고 인식되는지에 관심이 있다. 그녀는 최근 2012년 구겐하임 미술관 사진 큐레이터를 역임한 제니퍼 블레싱, “Alternative Photographic Processes”의 저자 크리스토퍼 제임스, 올브라이트 녹스 갤러리 관장 루이스 그라쵸스가 심사한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그녀는 현재 Creative Many Michigan에서 커뮤니케이션 코디네이터로 일하고 있으며, 디트로이트의 메리그로브 칼리지에서 사진과 미술사를 가르치고있다.

 

Sarah’s interests lie in studying how history is used and perceived, in conjunction with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people’s actions and behaviors towards information acquired to them. She has had recent group exhibitions that included jurors such as Jennifer Blessing, Curator of Photography at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12); Christopher James, Author of The Book of Alternative Photographic Processes (2012) and Louis Grachos, Director of Albright-Knox Gallery (2005). She is currently working as a Communications Coordinator for Creative Many Michigan and teaching Photography and Art History at Marygrove College in Detroit.

 

Justin Lincoln

“저는 미국 서북부에 사는 “실험적인” 아티스트입니다. “실험적”이라는 단어는 제 작품이나 제 학생들의 작품이 너무 미리 결정되지 않길 바란다는 의미인데요, 그래야 그 속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무언가를 발견할 수 있거든요. 나는 온라인 네트워크에 상당히 의존하여 작품과 교육활동을 해요. 인터넷에 떠도는 글씨와 이미지들의 흐름과 리듬, 반복들은 나를 항상 매료시키죠.”

-저스틴

저스틴은 왈라왈라의 위트먼 컬리지에서 뉴장르와 디지털 아트를 가르친다. 그는 온라인  네트워크와 국제전, 상영회를 통해 그의 작품을 발표해 왔으며, 몇 년 전부터는 비디오, 마이크로 블로깅 플렛폼 텀블러,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세싱, MaxMSP/Jitter를 이용한 생성예술(Generative Art)를 만들고 있다.

 

“I’m an experimental artist living in the NorthWest part of the United States. I use the word experimental to indicate that I like when my work or my students work is not overly pre-determined… When it can still hold some surprises. Both my art and my educational practices are predicated or reliant upon online networks. I’m rather obsessed by the flows, rhythms, and repetitions of words and images, particularly as they move on the Internet.”

-Justin

Justin teaches New Genres & Digital Art at Whitman College in Walla Walla, WA. Justin is a prolific presence online and his work shows extensively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screenings. For the last few years he has been making generative art using video, the micro-blogging platform Tumblr, and the programming languages Processing and MaxMSP/Jitter.

 

LaTurbo Avedon

“내이름은 라터보 아베돈이에요. 나는 아티스트이자 온라인에 살고 있는 아바타이죠.”

-라터보

라터보는 그녀의 존재와 그녀의 작품 전체가 온라인에 존재하는 아티스트 아바타이다. 현실세계와는 관계를 가지지 않고, 컴퓨터 밖의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간의 디지털 표상이다. 물질성이 결여된 그녀의 조각과 그녀가 만든 환경은 가상의 창작 활동을 오히려 드러낸다. 그녀는 온라인을 통해 그녀의 작품을 발표하는데, 베를린의 Transmediale, 뉴욕의 트랜스퍼 겔러리, 시카고의 장 알바노 미술관, 항저우의 노마드 스페이스, 파리의 갤러리 라파예트에서 국제적으로 소개되었다.

 

“My name is LaTurbo Avedon, I am an artist and avatar living online.”

-LaTurbo

LaTurbo is an artist-avatar whose existence and creative output resides entirely online. Without a real world referent, LaTurbo is a digital manifestation of a person that has never existed outside of a computer. Her digital sculptures and environments disregard this lack of physicality, and instead emphasize the practice of virtual authorship. Her works are regularly distributed online, and have been exhibited internationally – including Transmediale  (Berlin), Transfer Gallery (New York City), Jean Albano Gallery (Chicago), Nomade Space (Hangzhou), and Galeries Lafayette (Paris).

 

Norberto Gomez

노베르토 고메즈는 아티스트이면서, 미디어 고고학자이자 고스트 헌터이고 휴스턴, 텍사스, 리치몬드, 볼티모어에서 활동해왔다. 하지만 그의 인생에서 많은 부분을 그는 로스엔젤레스 기반의 채팅룸과 다른 온라인 소셜 네크워크와 커뮤니티에서 지내왔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기술과 신비주의의 교차점, DOOM DRONE & DEATH 메탈, 대중문화, 데이빗 보위, 밥 딜런, 초자연적 스타일 등이다. 그는 Digital America에 정기적으로 글을 싣고 있으며, 가끔 Fangoria Magazine에 호러무비에 대한 리뷰를 싣고 있다. 그는 에세이와 일러스트레션을 수록한 “THE BOOK OF CANNIBALS” 라는 제목으로 식인에 관한 아티스트 북을 출판했으며 현재 디지털 죽음에 대한 글을 쓰고 있다. 최근 (e)merge DC, 리치몬드 Gallery A, 휴스턴 Lawndale Art Center에서 전시를 가졌으며, 리치몬드 Corporate & Museum Frame에서 개인전을 준비중이다. 또한 리치몬드와 텍사스 산 안토니오에서 세번에 걸쳐 Bring Your Own Bearmer (byob) (Rafael Rozendall이 시작한 프로젝트)를 큐레이팅하였다. 2013년에는 Mark Rothko의 심령을 깨우기 위한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 하지만 비가 내리긴 했다.

 

Norberto Gomez Jr. is an artist, media archaeologist and ghost hunter who has lived in Houston, Texas, Richmond, Virginia, and Baltimore, Maryland. But, he has also lived a large portion of his life in chat rooms, based out of Los Angeles, and other digital social networks and communities. He is interested in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mysticism, DOOM, DRONE & DEATH metal, popular culture, Wendy Carlos, David Bowie, Bob Dylan, Kate Bush, and the occult nature of style. He writes regularly for Digital America, and sometimes reviews horror films for Fangoria Magazine. He has written an artist book on cannibalism, called THE BOOK OF CANNIBALS -a hand-pressed book featuring essays and illustrations. He is currently writing another book with the subject of digital-death. Recent select exhibitions include: a forthcoming solo show at Corporate & Museum Frame in Richmond, and previous solo shows at (e)merge Washington, DC, Gallery A in Richmond, and a two person show at the Lawndale Art Center, Houston. He has also curated four Bring Your Own Beamer (byob) events (created by Rafael Rozendaal) in Baltimore, Richmond and San Antonio, Texas. In 2013, he attempted to raise the ghost of Mark Rothko. The seance, however, failed. But it did rain.

 

정정주 Jeong-ju Jeong

“우리의 눈과 비디오카메라의 렌즈를 비교해 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내 작품들 속에서 내 눈은 작은 감시카메라로, 그리고 눈의 움직임은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대치되어 있다.”

– 정정주

정정주는 서울 기반의 조각가이자 뉴미디어 아티스트이다. 그는 성신여대에서 조각을 가르치고 있다. 정정주의 작품은 독일 칼스루에의 ZKM, 일본 나고야의 플러스 갤러리, 중국 베이징의 성장 미술관, 상하이의 상하이 젠다이 모마, 뉴욕의 링컨 센터 더 텐트, 서울의 리움 미술관 등에서 국제적으로 소개되었다.

 

“It’s fascinating to compare our eyes to lenses of a video camera…In my work, my eyes are replaced by a small surveillance camera and a movement of eyes is replaced by a movement of camera. ”

-Jeong-ju

Jeong-ju is a sculptor and new media artist based on Seoul, Korea. He teaches Sculpture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His work has been exhibited internationally, including ZKM (Karlsruhe, Germany), Plus Galery (Nagoya), Songzuang Museum, (Beijing), Shanghai Zendai MoMA, (Shanghai), The Tent at Lincoln Center (New York), and Samsung Art Museum LEEUM (Seoul).

 

하병원 Byeongwon Ha

하병원은 부산에서 태어났다. 초등학생 시절 근처 강에서 게를 잡으며 경험한 자연의 촉감은 현상학적 건축이론과 함께 그의 작품에서 근본적인 아이디어가 되었다. 여러가지 학계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알고리즘 영상과 Max/MSP Jitter, Ableton, 아두이노와 프로세싱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인스톨레이션 작업을 하고있다. 하병원의 작품은 ISEA, 시그래프 (SIGGRAPH) 아시아, 캐나다 몬트리올의 “Ethnographic Terminalia”을 포함한 국제전에 소개되었다.

 

Byeongwon was born in Busan, South Korea. When he was in elementary school, he used to catch a little crab near a river. He experienced with the natural hapticity. This is a fundamental idea of his projects with the theory of the phenomenological architecture. Based on his interdisciplinary academic experiences, he creates diverse algorithmic films and interactive installations, using Max/MSP Jitter, Ableton, Arduino, and Processing. Byeongwon’s work has been introduced at ISEA, SIGGRAPH Asia, “Ethnographic Terminalia” in Montreal, Canada.

 

김준성 Junsung Kim

“미술 대학을 다니는 동안 많은 젊은 작가들이 크리틱에 의존한 교육을 받게되죠. 왜냐하면 현대미술과 그 시장은 기하급수적인 기호교환에 집중하고 있으니까요. 많은 담론들에 노출되기 전에, 학생들은 비슷한 어휘들로 그들의 작품을 진행하게 되더라고요..”

-김준성

김준성은 뉴욕 베이스 아티스트이다. 그의 영상 작품 “Archeology”에서 그는 미술계와 미술 대학의 관계와 발전, 그리고 그것들을 겪어나가는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의 작품은 뉴욕, 시카고, 서울, 베트남, 타이렌드, 일본, 쿠바의 하바나 등에서 전시되었다.

 

“Through the art school period, many young artists have diluted education heavily driven by critique since both contemporary arts and its market are based on exponential sign exchanges. Before they are exposed to diverse discourses, most students manage to facilitate similar vocabulary for their working processes.”

-Junsung

Junsung is a New York City based artist. In his work “Archeology,” he engages different themes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world/art school, its evolutions and the artists who pass through it. His work has been exhibited internationally, including New York, Chicago, Seoul, Vietnam, Thailand, Japan, and Havana in Cuba.

 

신이피 Sin ifie

“세상의 모든것은 ‘관계’하는데 나의작업은 ‘나’와 ‘타인’과의 관계로 함축된 모티브에서 시작된다.”

– 신이피

신이피는 프랑스와 서울 기반의 인스톨레이션, 퍼포먼스 및 영상 아티스트이다. 한국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프랑스에 건너가 현대미술을 공부하였다. 그후 프랑스와 한국에서 전시 및 레지던스를 하였으며 프랑스 문화재청에서 Des fils et d’encres Selection를 수상하였다.

 

“Everything in the world is related to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e other” is a motif of my work.”

– Sin ifie

Sin ifie is an artist based on Seoul and France, working on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video art. After studying Asian Painting in Korea, she moved to France to study Contemporary Art. Now she has exhibited her works and participated in residencies both in Korea and France, and received Des fils et d’encres Selection from Fran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김리진 Leejin Kim

“나는 주관적인 과학자예요. 각 문화에서 생산해내는 몸(body)에 대한 이미지는 글로벌화 될 수 있는 객관적 가치와 각 문화권 밖에서는 읽어낼 수 없는 고유의 가치가 있는데, 나는 이 두 가치 사이의 긴장감을 탐구하죠.”

-리진

김리진은 뉴미디어 아티스트겸 시각연구가이다. 그녀는 뉴욕, 런던, 필라델피아, 센프란시스코, 리치몬드, 서울 등에서 전시를 가졌으며, 3D 및 믹스미디어 애니메이션 조각, 인스톨레이션, 웹 아트, 뉴미디어 아트 분야의 작품, 집필활동 및 큐레이팅을 하고있다. 그녀가 최신 기획한 “1956-1957 한국” 사진전은 KBS 뉴스와 론리 플레닛 매거진 코리아 등을 포함한 언론에 보도되었다. 상명대학교와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에서 미술 및 연합과목들을 가르쳐왔으며 현재 CICA 미술관에서 아트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I am a subjective scientist. I explore tensions between universal values of cultural body images that have potentials to be globalized and local values that are not readable outside of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Leejin

Leejin Kim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researcher working on new media art and visual & cultural studies. Her works have been exhibited in New York, London, Philadelphia, Richmond, and Seoul, Korea. “1956-1957 Korea,” the recent exhibition curated by Leejin, was introduced by the press, including KBS News and Lonely Planet Magazine Korea. She has taught art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at Sangmyung University,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She now works as an art director at CICA Museum.

디지털 아트와 저작권 [KOR]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c-a-n-issue-digital-art-and-copyright]
Jan. 28, 2015

전시를 준비하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막연히 그림이나 조각은 비쌀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디지털 작품에 대한 이해도와 존중의 정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디지털 파일은 만져지는 것도 아니고 쉽게 복사,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찌 보면 관객이나 컬렉터의 입장에서는 가치를 인정하기 힘들 수 있다. 심지어 굴지의 기업이나 단체에서도 계약 없이 무작정 “원본 파일을 보내봐라”고 요청하는 일도 종종 있다. 이러한 디지털 아트의 편재성(ubiquitous) 때문에 디지털 작품의 경우 음원이나 e-북과 같이 지적 재산(intellectual property)으로서의 저작권 개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디지털 작품의 원본을 요청할 경우 대부분 ‘악의’는 없었고 관심을 보내준 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있다. 사실상 한국에서는 서로의 홍보와 업무상의 편의를 위해서 개인단위의 아티스트를 상대로는 여러 가지 절차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문서화 작업에 대한 무지 혹은 무관심의 결과기도 하다. 결국, 소위 ‘이름 있는’ 작가나 ‘외국’ 작가가 아닌 이상, 한국에서는 중개 및 홍보와 배포를 담당하는 단체가 편의를 위해 개인의 지적 재산에 대한 보호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파일 하나 넘기는 것 가지고 뭐 이렇게 생색이냐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잘 키운 콘텐츠를 가로채는 것, 상사가 부하직원의 아이디어를 가로채는 것, 프로그램이나 디지털 파일에 대한 불법 다운로드의 만연화 등 상대방의 지적 결과물에 대한 존중이 없는 태도는 결국 나 자신의 지적 혹은 창의적 노동의 대가도 존중 받을 수 없는 환경을 만들고, 이는 국가적으로도 지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인데 ‘공유’하면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지적 결과물은 물건과 마찬가지로 엄연히 그 사람의 시간과, 재능, 노력이 들어간 산물이다.

한편, 지적 콘텐츠의 공유를 위한 사회적 운동으로 MIT를 기점으로 ‘오픈소스 무브먼트 (open-source movement)’가 있었다. 이는 기업에서 소스코드나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여 대중에게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에 반하여, 소스코드 및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100% 공개함으로써 누구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이로 인한 산물을 모두가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생겨난 운동이다. 이는 단순히 ‘사회주의’적 분배의 관점에서 생긴 운동이라기보다는 결국 공유를 통해서 프로젝트의 자발적 개발이 가능하므로 최근 노동비 절감 및 홍보의 차원에서 기업에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러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도 ‘도리’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보통 해당 소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개발자의 아이디나 홈페이지 링크를 하단에 명시하는 방식과 같이 서로의 크레딧을 보호하고 존중해 주는 것이다. 또한 각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영역을 제한 없이 공개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아이디나 이름을 명시하길 요청하는 등 배포와 동시에 스스로의 크레딧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디지털 작품이 활성화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존중 의식 및 보호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본다. 무작정 배포를 막자는 것이 아니다. 필자도 저작권 보호를 명목으로 일개 아티스트까지 소송을 불사하는 디즈니와 같은 사례는 저작권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라 본다. 미국 저작권법에는 저작권이 있는 지적 콘텐츠의 사용에 대하여 패러디나 교육을 위한 배포를 예외사항으로 두고 있는데, 즉, 패러디의 경우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며, 교육의 경우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배포하는 것은 교육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허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패러디의 경우, 개인 아티스트가 영화나 굴지의 기업 및 브랜드에 대한 주제로 비판을 하거나 작품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의 보호는 개인 단위의 표현의 자유를 위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 단위의 지적 콘텐츠를 회사나 단체가 요청할 경우에는 어떠한 절차가 필요할까? 간단하다. 저작권에 대한 동의 혹은 안내를 포함한 계약서이다. 한국은 “계약서 함부로 쓰지 말라”는 통설이 있다. 하지만 개인 디지털 아티스트에게 계약서는 본인의 노력의 결실에 대한 중요한 보호 장치이다. 계약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에도, 최소한 저작권에 대한 안내를 문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그리 복잡한 것이 아니다. 해당 아티스트는 누구에게 어떤 작품 파일을 제공하였으며, 그에 대한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다, 해당 작품은 누가 어떤 용도 이외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아티스트의 동의 없이 무단 배포 및 사용할 수 없다, 등의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돈을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아니다. 상대의 지적 결과물에 대한 존중이며 함부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인 것이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