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Book]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 속삭임 (2015)

큐레이터 김리진 | 에디터 김리진, 유경진 | 번역 김리진, 유경진, 오수경 | 판형 신국판 변형(223*300) | 인쇄 칼라8도 UV | 장정 무선 | 페이지 108쪽

가격 15,000원 | 초판 발행일 2014년 4월 17일 | 분야 예술

ISBN 979-11-953952-1-7 (03680)

현대미술이란 속삭임과도 같다. 거리로 뛰쳐나가 목 놓아 외치는 액티비스트들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지는 거대한 담론들과 광기, 큰소리가 이기는 요즘 사회에서 아무도 찾지 않는 갤러리에 숨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아티스트들은 어찌 보면 겁쟁이들 같다. 그리고 광고와 언론, 다양한 미디어에서 쏟아내는 큰 목소리에 익숙해진 우리는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점점 낯설다.

하지만 속삭임에는 은밀함이 있다. 진솔함이 있다. 당신이 어젯밤 몰래한 일을 보통 거리에서 소리치지는 않는다. 가장 친한 친구에게 혹은 연인에게 속삭일 것이다. 이렇듯 현대미술을 볼 때 관객은 작가의 어찌 보면 친절하지 않은 작은 중얼거림에 귀 기울여야 한다. 작가는 자신의 비밀스러운 혹은 진솔한 생각을 속삭임보다도 더 알아듣기 힘든 언어로 풀어낸다. 그 흔적을 더듬어가는 과정에 현대미술이 가져다주는 작은 쾌감이 있다.

왜 그들의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하는가. 그들이 대단해서? 거장이어서? 물론 유명하니까 그들의 말, 거취 하나하나가 중요하다는 논리도 부정할 수는 없는 현대미술의 단면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작은 목소리들은 결국 사회 모든 개개인의 작은 목소리의 표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들을 통해 관객은 ‘나’의 작은 목소리에 결국 귀 기울이게 된다. 현대 미술의 시각적 언어는 우리가 쓰는 언어와는 다르게 거울과 같은 면이 있다. 상대방의 작품을 해석한다는 것은 결국 ‘나’를 드러내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결국 작품을 본다는 것은 나 스스로를 바라보는 것과도 같은 것이다.

– 김리진, 서문: Across Voices – 속삭임에서

Contemporary art is like a hushed voice. It’s not an activist, taking to the streets to shout out loud to the world, nor is it a fanatic discourse, resonating through social media. We all know that the loudest voices tend to win out, and in this sense, artists might be considered cowards, preferring to hide in empty gallery spaces, mumbling their own stories to themselves. The audience accustomed to the loud voices, the voices of the media and advertisements, may not feel comfortable listening to the low voices of artists.

However, low voices are personal. Instead of the shout we use anonymously on the street, we use a whisper to impart words to a close friend or a lover. And when viewing art works, we have to listen for the artist’s mumbling, which can be hard to understand. Artists like to tell their stories in their own secret languages, more convoluted even than actual mumbled words. But there is a thrill to be found by following in their footsteps and deciphering their meaning.

And why do we need to listen to these hushed voices in the first place? Because they belong to famous artists? “Great” artists? Of course, there are many who pay attention to artists on account only of their fame. But, more importantly, these hushed voices are symbols of the voice of societies. By understanding artists’ voices, we begin to listen to our own. Unlike verbal language, the visual language of contemporary art acts as a mirror; we often reveal ourselves through our interpretation of art. In this sense, seeing a work of art becomes the equivalent of seeing one’s own self.

“Across Voices” by Leejin Kim

 

책소개

About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속삭임”

뉴미디어 아트란 새로운 매체 기술을 아트에 접목시킨 분야를 통칭하며, 예술의 개념, 시장, 교육 및 전반적 시스템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의 ‘New (새로움)’이라는 단어의 자체의 상대성이 시사하듯이, 뉴미디어 아트는 각 시대에서 ‘새롭다’고 여겨지는 기술과 끊임없이 접목하며 발전해왔다. 뉴미디어 아티스트가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현대 아티스트에게 있어 그들의 삶을 둘러싼 모든 것들이 그들의 현실을 표현할 수 있는 작품의 재료 및 소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은 작품을 단지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서가 아닌, 기존의 작품과 예술에 대한 철학적인 개념에 도전하는 여러 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된 영상, 소셜 미디어,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은 많은 작가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속삭임”은 CICA 미술관 김리진 아트디렉터가 큐레이팅한 “Across Voices – 속삭임 (2015. 3. 21 – 6. 21)” 전시와 연계하여 출판되었다. 현시점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국내외의 뉴미디어 아티스트: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Norberto Gomez,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정정주, 하병원, 김준성, 신이피, 김리진의 작품과 그들의 진솔한 생각을 담음으로써 2015년 뉴미디어 아트의 단상을 담고자 하였다. 한글 영어 동시 수록.

New media art utilizes new media technology to create art. As the term “new” in new media art indicates how such art changes relatively with “newness,” new media art has constantly incorporated technologies considered “new” at the moment. The reason that new media artists are interested in new media technology is that contemporary artists look for their materials and subject matters in their daily lives, and they use these to express their realities. New media technologies are not only tools for work, but they also contain crucial features that may subvert philosophical concepts of “Art” and artworks. In addition, new media, including video, social media,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have become essential tools for communication these days, and have opened up new possibilities for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the audience.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wa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ion “New Media Art 2015: Across Voices – 속삭임,” organized by Leejin Kim, an art director at CICA Musuem, Gimpo, Korea, March 21 – June 21, 2015. This book features works and truthful voices of new media artist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Norbeto Gomez Jr.,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Jeong-ju Jung, Byeongwon Ha, Junsung Kim, Sin ifie, and Leejin Kim. By displaying their works and thoughts, we would like to highlight a cross section of New Media Art in 2015.

 

참여 작가

Features

Matt Kenyon

Heidi Kumao

Sarah Nesbitt

Norbeto Gomez Jr.

Justin Lincoln

LaTurbo Avedon

정정주 Jeong-ju Jung

하병원 Byeongwon Ha

김준성 Junsung Kim

신이피 Sin ifie

김리진 Leejin Kim

 

저자 소개

About curator & editors

김리진 (큐레이팅, 편집, 번역)

김리진은 뉴미디어 아티스트겸 시각연구가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조소를 전공하고 미국 팬실베니아 대학원에서 뉴미디어와 조소를 공부하였다. 이후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에서 Media, Art, and Text 전공으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그녀는 뉴욕, 런던, 필라델피아, 센프란시스코, 리치몬드, 서울 등에서 전시를 가졌으며, 3D 및 믹스미디어 애니메이션 조각, 인스톨레이션, 웹 아트, 뉴미디어 아트 분야의 작품, 집필활동 및 큐레이팅을 하고 있다. 상명대학교와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에서 미술전공 과목 및 연합과목들을 가르쳐왔으며 현재 CICA 미술관에서 아트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유경진 (편집, 번역)

문화에 대한 열정이 넘치는 학구파 컴퓨터 공학도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네이버에서 근무하다가 현재는 메릴랜드 대학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Leejin Kim (curator, editor, & translator)

Leejin Kim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researcher working on new media art and visual & cultural studies. Leejin received her BFA in Sculptur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MFA in Sculpture and New Media from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her PhD in Media, Art, and Text from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Her works have been exhibited in New York, London, Philadelphia, Richmond, and Seoul, Korea. Leejin has taught art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at Sangmyung University,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She now works as an art director at CICA Museum.

Kyungjin Yoo (editor & translator)

Kyungjin is a computer scientist who loves art & culture.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worked at Naver Corp. Now he is pursuing his PhD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목차

Contents

C.A.N.을 소개합니다 …………………………………………. 8

About C.A.N.

목차 …………………………………………. 9

Contents

서문 …………………………………………. 10

Intro

참여 작가를 소개합니다 …………………………………………. 12

Featured Artists

맷 캐년, “노트패드” …………………………………………. 14

Matt Kenyon, “Notepad”

헤이디 쿠마오, “떠남” ……………………………………………… 20

Heidi Kumao, “Egress”

사라 네스빗 “이주” …………………………………………. 32

Sarah Nesbitt, “Migration”

저스틴 링컨, “스트로보” …………………………………………. 36

Justin Lincoln, “The Stroboscope”

라터보 아베돈, 온라인 아바타 아티스트 …………………………………………. 43

LaTurbo Avedon, an Artist and Avatar Living Online

노베르토 고메즈, “나는 부르클린에서 작품을 하지 않겠다!” ………………………………….. 54

Norbeto Gomez Jr., “I Will Not Make Art in Brooklyn”

정정주, 시선, 공간, 움직임 …………………………………………. 59

Jeong-ju Jeong, Gaze, Space, Movement

하병원, “시차” …………………………………………. . 66

Byeongwon Ha, “Parallax”

김준성, “고고해학” …………………………………………. 70

Junsung Kim, “Archeology”

신이피, “소금도시” …………………………………………. 82

Sin ifie, “Salt City”

김리진, “꽃미남과 엘프” …………………………………………. 90

Leejin Kim, “Kot-mi-nam & Elf”

저작권 및 감사의 말 …………………………………………. 103

Credits & Thanks

 

***한국 주요 서점에서 곧 만나실 수 있습니다.

*** Will be available at major book stores in Korea soon. 

온라인 CICA 스토어에서 구매하기

Now available at online CICA Store

디지털 아트와 저작권 [KOR]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c-a-n-issue-digital-art-and-copyright]
Jan. 28, 2015

전시를 준비하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막연히 그림이나 조각은 비쌀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디지털 작품에 대한 이해도와 존중의 정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디지털 파일은 만져지는 것도 아니고 쉽게 복사,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찌 보면 관객이나 컬렉터의 입장에서는 가치를 인정하기 힘들 수 있다. 심지어 굴지의 기업이나 단체에서도 계약 없이 무작정 “원본 파일을 보내봐라”고 요청하는 일도 종종 있다. 이러한 디지털 아트의 편재성(ubiquitous) 때문에 디지털 작품의 경우 음원이나 e-북과 같이 지적 재산(intellectual property)으로서의 저작권 개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디지털 작품의 원본을 요청할 경우 대부분 ‘악의’는 없었고 관심을 보내준 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있다. 사실상 한국에서는 서로의 홍보와 업무상의 편의를 위해서 개인단위의 아티스트를 상대로는 여러 가지 절차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문서화 작업에 대한 무지 혹은 무관심의 결과기도 하다. 결국, 소위 ‘이름 있는’ 작가나 ‘외국’ 작가가 아닌 이상, 한국에서는 중개 및 홍보와 배포를 담당하는 단체가 편의를 위해 개인의 지적 재산에 대한 보호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파일 하나 넘기는 것 가지고 뭐 이렇게 생색이냐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잘 키운 콘텐츠를 가로채는 것, 상사가 부하직원의 아이디어를 가로채는 것, 프로그램이나 디지털 파일에 대한 불법 다운로드의 만연화 등 상대방의 지적 결과물에 대한 존중이 없는 태도는 결국 나 자신의 지적 혹은 창의적 노동의 대가도 존중 받을 수 없는 환경을 만들고, 이는 국가적으로도 지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인데 ‘공유’하면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지적 결과물은 물건과 마찬가지로 엄연히 그 사람의 시간과, 재능, 노력이 들어간 산물이다.

한편, 지적 콘텐츠의 공유를 위한 사회적 운동으로 MIT를 기점으로 ‘오픈소스 무브먼트 (open-source movement)’가 있었다. 이는 기업에서 소스코드나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여 대중에게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에 반하여, 소스코드 및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100% 공개함으로써 누구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이로 인한 산물을 모두가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생겨난 운동이다. 이는 단순히 ‘사회주의’적 분배의 관점에서 생긴 운동이라기보다는 결국 공유를 통해서 프로젝트의 자발적 개발이 가능하므로 최근 노동비 절감 및 홍보의 차원에서 기업에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러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도 ‘도리’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보통 해당 소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개발자의 아이디나 홈페이지 링크를 하단에 명시하는 방식과 같이 서로의 크레딧을 보호하고 존중해 주는 것이다. 또한 각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영역을 제한 없이 공개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아이디나 이름을 명시하길 요청하는 등 배포와 동시에 스스로의 크레딧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디지털 작품이 활성화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존중 의식 및 보호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본다. 무작정 배포를 막자는 것이 아니다. 필자도 저작권 보호를 명목으로 일개 아티스트까지 소송을 불사하는 디즈니와 같은 사례는 저작권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라 본다. 미국 저작권법에는 저작권이 있는 지적 콘텐츠의 사용에 대하여 패러디나 교육을 위한 배포를 예외사항으로 두고 있는데, 즉, 패러디의 경우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며, 교육의 경우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배포하는 것은 교육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허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패러디의 경우, 개인 아티스트가 영화나 굴지의 기업 및 브랜드에 대한 주제로 비판을 하거나 작품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의 보호는 개인 단위의 표현의 자유를 위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 단위의 지적 콘텐츠를 회사나 단체가 요청할 경우에는 어떠한 절차가 필요할까? 간단하다. 저작권에 대한 동의 혹은 안내를 포함한 계약서이다. 한국은 “계약서 함부로 쓰지 말라”는 통설이 있다. 하지만 개인 디지털 아티스트에게 계약서는 본인의 노력의 결실에 대한 중요한 보호 장치이다. 계약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에도, 최소한 저작권에 대한 안내를 문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그리 복잡한 것이 아니다. 해당 아티스트는 누구에게 어떤 작품 파일을 제공하였으며, 그에 대한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다, 해당 작품은 누가 어떤 용도 이외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아티스트의 동의 없이 무단 배포 및 사용할 수 없다, 등의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돈을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아니다. 상대의 지적 결과물에 대한 존중이며 함부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인 것이다.

Buyer of New Media Art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issue-buyer-of-new-media-art]
Feb. 13, 2014

Fig. 1. (a) Places of residence of top 200 collectors [1] (top) and (b) countries by the number of US dollar billionaires announced by Forbes (http://www.forbes.com/wealth/billionaires) (bottom). Regarding the top chart, the place in which less than four collectors reside have been omitted from the chart. Regarding the bottom chart, only countries ranked in the top ten have been listed (with the exception of Korea).

Traditional art works exhibited in galleries and museums are enjoyed by visitors and sold by collectors. Meanwhile, sponsorship is a different concept. Rather than dealing art as cultural goods like collectors, sponsors support individual artists, art projects, events, or exhibitions. While many collectors are individuals, sponsors can be individuals, companies, or commercial/non-commercial foundations.

Regarding the new media art market, including video, web, and interactive art, the existing collector model is problematic. Since what is defined as new media art is often not a single object made out of tangible materials, but a complex installation work or an event involving electronic devices and performances, it is hard to define what part of new media art can be sold to collectors, such as a digital file, a documentation of the event, or the whol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More problematic is the concern that electronic devices have relatively short life spans compared to archival art pieces. Even if one collector buys a whol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t is hard to maintain the work since all electronic devices will need to be replaced or repaired at some point due to the failure or discontinuation of the purchased models. Thus, new media art installations must be maintained by artists or experts with detailed instruc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investment in the work.

To better understand buyer groups for contemporary art, an analysis to the list of the most active 200 collectors in 2011 reported by Art News Magazine [1] has been included in this article (See Fig.1). In the article, Art News annually announces the top 200 collectors with the information of names, residences, professions, and areas of interest in collecting. This analysis help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art collectors.

The top chart pictured in Fig. 1 illustrates the places of residence of the world’s most active 200 collectors of 2011. However, the places in which less than four collectors reside have been omitted from the chart. Since the majority of collectors reside in more than two places, I counted each place as one. Therefore, the total number of the residences exceeds 200, the total number of collectors. Of the 200 collectors, 160 reside in the United States, and 63 reside in Europe. Within the US, 52 out of 200 collectors, more than a quarter, reside in New York City. This chart visualizes the concentration of art collectors in New York City.

However, methods Art News used to gathered the data around the world and its credibility is questionable. For instance, in the case of China, China was reported as the second largest country in the consumption of luxury goods totaling $ 9.4 billion in 2009, and accounting for 27.5% in global sales of luxury goods [2]. However, none of the 200 collectors resides in China except for two in Hong Kong and two in Taiwan. According to Skate’s Art Market Research on China in 2011 (http://skatesartinvestment.com), the art market in China is “one of the fast growing source of demand standing at the T-intersection of the ‘Japanese’ and ‘American’ ways [3].” Therefore, the data collected by art news is debatable, specifically the data that suggests that majority of “top” art collectors reside in the US.

The bottom chart of Fig. 3 illustrates the list of countries by the number of billionaires reported on the Forbes website (http://www.forbes.com/wealth/billionaires). Like the list of 200 art collectors, the majority of billionaires were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owever, the percentage of East Asian and unlisted countries in the list of billionair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200 collectors. While 9% of the 200 collectors were from East Asia and unlisted countries, 41% of 1,210 billionaires were from East Asia and unlisted countries. The discrepancy may be inferred due to two possible causes: 1) there were errors in the data or 2)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Western countries invest in art more than other countries.

Fig. 2. Professions of Top 200 Collectors [8]. The majority of collectors work in investment, real estate, and inheritance.

Fig. 2 indicates the professions of the top 200 collector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majority of collectors’ capital is supplemented by investment, real estate, and inheritance, rather than working salaried positions.

Fig. 3. The categorization of areas of interest in collection of the top 200 collectors [1].  The collectors’ interest in collection was categorized into four standards: Era, Place, Media, and Theory. The majority of categorization standard was by era. Of the 200 collectors, 159 were interested in contemporary art but only one collector was specifically collecting new media art. (NMA=New Media Art, OMA=Old Media Art)

Fig. 3 indicates the 200 collectors’ areas of interest in art collecting. Art News categorized areas of Art based on multiple standards: Era, Place, Media, and Theory. The meanings of the terms are sometimes ambiguous or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refore do not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certain collectors. For instance, while the area of interest of Pierre Chen was “Western and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Chinese imperial porcelain and art,” Uli Knecht was interested in collecting “Contemporary art, especially Pop and German art.” The terms such as “Western,” “German,” “Pop,” and “Contemporary” have different standards of categorization, which make it difficult to analyze the list. In addition, statistics suggest that collectors tend to collect art works from their own countries or regions.

The majority of categorization methodologies used by Art News were based on eras such as “Contemporary,” “Modern,” “Postwar,” and “Old Masters.” Following eras, place is the second most popular methods to categorize collecting trends. It was observed that collectors tend to collect art from their place of residence. Third, some collectors collect works based on media, such as “Painting,” “Sculpture,” “Film/Video,” and “New Media.” Finally, some collectors collect art works based on theories, such as “Expressionism,” “Impressionism,” “Minimalism,” and “Feminism.”

In the top 200 collectors list, only one collector was specified as collecting new media art. While traditional media art such as sculpture and painting can be easily purchased by collectors, new media art is problematic in terms of its category due to the complexity of its output and the ephemeral nature of the medium.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top 200 collectors, the existing art collector model of art does not include new media art due to the difficulties of preservation of new media art as ephemeral cultural property. In conclusion, based on the lack of statistical data on new media art and its collectors, the new media art market is in need of new forms of sponsorship, which may be a project sponsor or a distributor.

[1]     http://www.artnews.com/2011/08/15/the-artnews-200-top-collectors-2011/ The ARTNews 200 top collectors, Summer 2011.

[2]     http://www.china-online-marketing.com/news/china-market-news/china-luxury-market-report/ China consumption of Luxury Goods.

[3]     http://skatesart.files.wordpress.com/2011/04/skates_market_notes-18-04-20112.pdf  Some Musings about the Future of the Chinese Art Market.

예쁜 작품이 좋은 미술일까 [KOR]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article_01]
January 30, 2014

작품을 만들 때 작가는 종종 고민에 빠진다. 나를 표현할 것인가, 소비자를 고려할 것인가, 현대 미술의 맥락에서 만들어야 할까 – 그렇다면 현대미술의 맥락은 대체 무엇이며 서양에서 나온 현대미술의 맥락을 지구 반대편에 붙어있는 이 한국땅에서는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걸까.

사실상 현대미술은 몇몇 지역에 시장이 집중되어 있고 그 외 모든 지역은 그 조그만 지역들에서 무슨 일들이 벌어지는지 알고있지 않으면 안되는 기이한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단지 ‘미술’- Visual Art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아마존 원주민도 흙바닥에 그림을 그리고 자신의 몸을 치장한다. 미술은 음식을 먹고 옷을 입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능적으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게 되는 것이다. 어린 아이가 글도 배우기 전에 엄마를 그릴 줄 알며 청소년기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누구나 상대를 그리게 되는 것이다.

반면 현대미술 – Contemporary Art는 대체 무엇인가? 말을 직역하면 단지 현대의 미술이지만, 사실 이 단순한 단어 뒤에는 개인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고 복잡하며 꼬일대로 꼬인 정치 문화 경제적, 또한 인종적 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많은 작가들이 음식을 먹고 잠을 자고 사랑을 하듯 타고난 재능에 의해 본능적 끌림으로 작가가 되겠다고 결심하지만, 대부분이 경험하는 것은 거대한 – 넘을 수 없는 벽이다. 지역적, 문화적, 인종적인 벽.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배경은 벽이 되어버린다.

‘작가’- Artist라는 환상은 누가 만들었나? 미국에서는 Artist와 artist를 의미적으로 구분한다. 소문자로 쓴경우 단순히 미술을 하는 사람을 의미하지만 Artist라는 것은 “예술가”를 의미하는데 즉, 무엇인가 ‘가치있는’ 미술을 한다는 것이다. 가치있다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인 개념이다. 내가 어려서 친구와 주고 받은 편지들이 나에게는 소중하고 가치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들에게는 그저 종이 조각일 뿐 아닌가. 결국 우리가 대단한 거장이라고 하는 몇 안되는 서양작가들의 습작, 물건 하나하나가 가치있는 이유는 그들의 흔적이 우리들의 흔적보다 더 “가치있다”고 누군가에게 배웠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대미술과 서양미술사를 우리가 모두 무시하고 우리만의 미술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대답은 다양하게 나올 수 있겠지만 나의 개인적인 의견은 No이다. 역사의 맥락상 한국은 이미 서구화된 사회이다. 학문적 기반 또한 서양의 것으로 대체되고 우리는 서양의 ‘해석된’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교육받고 가치관을 형성했다. 또한 경제적인 관점으로 봤을때에도 현대미술 시장은 무시하기엔 너무 큰 시장이며 잠재적 파급효과 또한 엄청나다.

서양현대미술을 이해한다고 해서 우리의 색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공식을 완전하게 이해했을 때 그 겉모습만 흉내내는 것이 아닌 그 공식을 이용해 정말 우리의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현대미술의 공식이란 언어와도 같다. 그 틀은 이미 정해져있다. 어느정도 맞추어 주어야지 소통이 가능하다. 하지만 틀을 맞춘다고해서 내용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결국 현대미술을 배운다는 것은 지극히 사적인, 개인적인 이슈를 비밀스러운 언어로 표현하는 법과 또한 읽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 언어를 배우면 누구나 현대미술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봤을 때 “현대작품”이란 시각적 언어로 나누는 철학적인 대화이다. 작품에 들어가는 모든 요소는 작가가 관객에게 던지는 단어 또는 느낌 하나 하나이다. 관객은 작품을 시간을 두고 살펴보면서 그러한 의미와 느낌을 느껴보는 것이다. 영화에 멜로물만 있지않고 스릴러나 공포물, 액션 판타지도 있지않은가.

현대미술이란 삶을 다루는 언어와도 같아서 예쁜 작품도 있을 수 있고 우울한 작품도, 잔인한 작품도 있을 수 있다. 삶이 그러하듯 말이다. 현대미술이 모두 “예쁜 작품” 만 있다면 그것은 한가지의 사고방식과 양식을 한정짓는, 오히려 “현대미술”의 개념에 반하는 것이 된다. “예쁜 작품”을 만든다는 것은 오히려 소비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디자인에 가까운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즉 관객을 생각하게 하는 대화의 대상이 아닌, 관객을 보다 편안하고 만족감을 주는데 초점을 둔다는 의미이다.

Statement (2008-2013)

I am a subjective scientist. I explore forms, images, and the anatomy of the body, considering the body not only as a form of mind and will, but also as confinement of energy and perspectives toward the world. I delve into the subject matter by freely leaping across boundaries from Human Anatomy to Architecture, from Pop Culture to High Art, and from Science to Art, not limited by the confines set by these fields of study. While I hybridize various fields, from visual research and extracted patterns, a mutated creature begins to evolve into a tangible form that is the visualization of my reality, vision, and philosophy.

Since my college years in Korea, I have been committed to exploring movement in virtual space and real space fantasizing about someday creating a man made out of non-degradable and modular inorganic materials. I utilize various interactive and time-based media such as the Internet, software programs, 3D games, and animations, as well as drawings and sculpture to find more active ways to communicate with viewers.

Meanwhile, studying cultural body imag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 noticed that certain visual elements tend to change their meanings and contexts when globalized. Languages and images are intricately interlinked to each other formulating their meanings and contexts in the local communities. I explore tensions between universal values of cultural body images that have potentials to be globalized and local values that are not readable outside of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In Fall 2009, I entered the interdisciplinary PhD program in Media, Art, and Text to scholarly develop innovative theories and practice of New Media Art. In my ongoing dissertation project, “Anatomy-based Realistic Facial Animation and Its Application to Art,” I aim to create an anatomy-based facial modeling and animation system, and real-time control of it, that enable real-time communication of emotional status. The project incorporates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es and theories of Art, Engineering, Psychology, and Cultural Studies, and explores unique exhibitions of its data. Textual, visual, and multimedia resources of facial and facial expression theories and projects from various fields a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methodologies from social science and engineering.

I construct my Art through conceptualizing the body not only in relation to anatomy, but also in connection with culture, environment, and social structure. I synthesize seemingly unrelated concepts blurring the boundaries of theoretic logic institutionalized by academia using the various techniques of visualization, to materialize my hybridized mind and thoughts.

Written in 2008, revised in 2013.

1956-1957 Korea (2014)

[Exhibition] 1956-1957 Korea (CICA Museum, Nov. 29, 2014 – Feb. 28, 2015)

[전시] 1956-1957 한국 (CICA 미술관, 2014년 11월 29일 – 2015년 2월 28일) 

http://cicamuseum.com/1956-1957-korea

[Book] 1956-1957 Korea (CICA Pres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ion “1956-1957 Korea,” organized by Leejin Kim, an art director at CICA Musuem, Gimpo, Korea, November 29, 2014 – February 28, 2015

Produced by CICA Press, Gimpo, Korea

Curator: Leejin Kim

Editors: Leejin Kim, Kyungjin Yoo

The exhibition and the book ‘1956-1957 Korea’ features photographs taken in Korea from 1956 to 1957 by Lecile Webster and her story. Lecile Webster is the first African-American Woman worked for the U.S. Embassy Seoul, Korea. Her photographs include Seoul and rural scenes, daily lives of U.S. Embassy employees, Ik-hee Shin’s national funeral, John Foster Dullas’ visit in Korea, embassy wedding, and the adoption scene of Korean babies to U.S. families. Her photos capture the encounter between Korean culture and Western culture at that time, which creates surreal foreignness and tension between them.

[도서] 1956-1957 한국 (CICA Press)

주한 미국대사관 최초의 흑인 여성 외교관 레실 웹스터씨가 기록한

1956-1957 한국 서울과 농촌의 선명한 컬러 사진들

큐레이터 김리진 에디터 김리진, 유경진| 판형 (223*223) | 페이지 84쪽

가격 12,000원 | 초판 발행일 2014년 11월 29일 | 분야 예술/사진

ISBN 979-11-953952-0-0(03660)

출판사 CICA Press

“내가 한국에 도착했을 때는 1956년 겨울이었어요. 눈이 왔었죠. 비행기에서 보는 서울은 아무것도 없었어요. 눈뿐이었죠. 허허벌판에 아무 건물도 보이지 않았어요. 당시 한국으로 가는 일반 승객기가 없었기 때문에 나는 군용 비행기를 타고 왔죠.”

“한국은 세계에 아직도 굶주리고 어려움을 겪는 많은 다른 나라들에 좋은 본보기에요. 그들은 한국으로부터 많은 것들을 배우려 할 거에요. 한국의 교육과 발전 과정들을 배우겠죠. 이것은 실제로 가능했던 일이니까요.”

-레실 웹스터

책소개

1956-1957 외국인이 담은 서울 및 교외 풍경, 주한 미국대사관 직원들의 생활상, 신익희 선생의 국민장, 존 포스터 덜레스의 방한 장면, 대사관 결혼식, 한국 아이들의 미국 입양 장면과 같은 역사적으로 소중한 한국의 일상들을 담은 컬러 사진이 사진을 찍으신 레실 웹스터씨와의 인터뷰 내용과 함께 수록되었다. 당시 컬러 사진이 한국에 보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양인이 기록한 당시 한국의 선명한 컬러 사진들은 역사적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특히 서울의 풍경사진으로서 최초의 컬러 사진으로 또한 웹스터씨의 한국에서의 생생한 기억들은 1950대의 한국인의 단상들을 잘 묘사하고 있다.

2014년 12월 9일 KBS 9시 뉴스 및 12월 10일 뉴스 보도

“세종로에서 연 날리고, 한강에서 얼음낚시”

저자소개

김리진

서울대학교 미대를 졸업하고,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미술석사를 취득하였으며,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에서 미디어, 아트, 앤 텍스트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CICA 미술관 아트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유경진

문화에 대한 열정이 넘치는 학구파 컴퓨터 공학도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네이버에서 근무하다가 현재는 메릴랜드 대학에서 박사과정 중이다.

목차

About C.A.N. 2

여의도 공항 4

서울 풍경 18

입양 장면 36

연날리기 대회 46

창덕궁 50

대사관 결혼식 53

시골 풍경 58

젓가락 공장 68

신익희 선생 국민장 70

마치는 말 80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