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디지털 아트와 저작권 [KOR]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c-a-n-issue-digital-art-and-copyright]
Jan. 28, 2015

전시를 준비하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막연히 그림이나 조각은 비쌀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반면, 디지털 작품에 대한 이해도와 존중의 정도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디지털 파일은 만져지는 것도 아니고 쉽게 복사,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찌 보면 관객이나 컬렉터의 입장에서는 가치를 인정하기 힘들 수 있다. 심지어 굴지의 기업이나 단체에서도 계약 없이 무작정 “원본 파일을 보내봐라”고 요청하는 일도 종종 있다. 이러한 디지털 아트의 편재성(ubiquitous) 때문에 디지털 작품의 경우 음원이나 e-북과 같이 지적 재산(intellectual property)으로서의 저작권 개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디지털 작품의 원본을 요청할 경우 대부분 ‘악의’는 없었고 관심을 보내준 것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있다. 사실상 한국에서는 서로의 홍보와 업무상의 편의를 위해서 개인단위의 아티스트를 상대로는 여러 가지 절차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문서화 작업에 대한 무지 혹은 무관심의 결과기도 하다. 결국, 소위 ‘이름 있는’ 작가나 ‘외국’ 작가가 아닌 이상, 한국에서는 중개 및 홍보와 배포를 담당하는 단체가 편의를 위해 개인의 지적 재산에 대한 보호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파일 하나 넘기는 것 가지고 뭐 이렇게 생색이냐고 할 수 있겠지만, 이는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잘 키운 콘텐츠를 가로채는 것, 상사가 부하직원의 아이디어를 가로채는 것, 프로그램이나 디지털 파일에 대한 불법 다운로드의 만연화 등 상대방의 지적 결과물에 대한 존중이 없는 태도는 결국 나 자신의 지적 혹은 창의적 노동의 대가도 존중 받을 수 없는 환경을 만들고, 이는 국가적으로도 지식/문화 콘텐츠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인데 ‘공유’하면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반문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지적 결과물은 물건과 마찬가지로 엄연히 그 사람의 시간과, 재능, 노력이 들어간 산물이다.

한편, 지적 콘텐츠의 공유를 위한 사회적 운동으로 MIT를 기점으로 ‘오픈소스 무브먼트 (open-source movement)’가 있었다. 이는 기업에서 소스코드나 정보를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여 대중에게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에 반하여, 소스코드 및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100% 공개함으로써 누구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이로 인한 산물을 모두가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생겨난 운동이다. 이는 단순히 ‘사회주의’적 분배의 관점에서 생긴 운동이라기보다는 결국 공유를 통해서 프로젝트의 자발적 개발이 가능하므로 최근 노동비 절감 및 홍보의 차원에서 기업에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이러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도 ‘도리’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보통 해당 소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개발자의 아이디나 홈페이지 링크를 하단에 명시하는 방식과 같이 서로의 크레딧을 보호하고 존중해 주는 것이다. 또한 각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한 영역을 제한 없이 공개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아이디나 이름을 명시하길 요청하는 등 배포와 동시에 스스로의 크레딧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 디지털 작품이 활성화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존중 의식 및 보호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본다. 무작정 배포를 막자는 것이 아니다. 필자도 저작권 보호를 명목으로 일개 아티스트까지 소송을 불사하는 디즈니와 같은 사례는 저작권 본연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것이라 본다. 미국 저작권법에는 저작권이 있는 지적 콘텐츠의 사용에 대하여 패러디나 교육을 위한 배포를 예외사항으로 두고 있는데, 즉, 패러디의 경우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며, 교육의 경우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배포하는 것은 교육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허용한다는 것이다. 특히 패러디의 경우, 개인 아티스트가 영화나 굴지의 기업 및 브랜드에 대한 주제로 비판을 하거나 작품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의 보호는 개인 단위의 표현의 자유를 위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개인 단위의 지적 콘텐츠를 회사나 단체가 요청할 경우에는 어떠한 절차가 필요할까? 간단하다. 저작권에 대한 동의 혹은 안내를 포함한 계약서이다. 한국은 “계약서 함부로 쓰지 말라”는 통설이 있다. 하지만 개인 디지털 아티스트에게 계약서는 본인의 노력의 결실에 대한 중요한 보호 장치이다. 계약이 성립되지 않을 경우에도, 최소한 저작권에 대한 안내를 문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그리 복잡한 것이 아니다. 해당 아티스트는 누구에게 어떤 작품 파일을 제공하였으며, 그에 대한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다, 해당 작품은 누가 어떤 용도 이외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아티스트의 동의 없이 무단 배포 및 사용할 수 없다, 등의 저작권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돈을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아니다. 상대의 지적 결과물에 대한 존중이며 함부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인 것이다.

Buyer of New Media Art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issue-buyer-of-new-media-art]
Feb. 13, 2014

Fig. 1. (a) Places of residence of top 200 collectors [1] (top) and (b) countries by the number of US dollar billionaires announced by Forbes (http://www.forbes.com/wealth/billionaires) (bottom). Regarding the top chart, the place in which less than four collectors reside have been omitted from the chart. Regarding the bottom chart, only countries ranked in the top ten have been listed (with the exception of Korea).

Traditional art works exhibited in galleries and museums are enjoyed by visitors and sold by collectors. Meanwhile, sponsorship is a different concept. Rather than dealing art as cultural goods like collectors, sponsors support individual artists, art projects, events, or exhibitions. While many collectors are individuals, sponsors can be individuals, companies, or commercial/non-commercial foundations.

Regarding the new media art market, including video, web, and interactive art, the existing collector model is problematic. Since what is defined as new media art is often not a single object made out of tangible materials, but a complex installation work or an event involving electronic devices and performances, it is hard to define what part of new media art can be sold to collectors, such as a digital file, a documentation of the event, or the whol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More problematic is the concern that electronic devices have relatively short life spans compared to archival art pieces. Even if one collector buys a whol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t is hard to maintain the work since all electronic devices will need to be replaced or repaired at some point due to the failure or discontinuation of the purchased models. Thus, new media art installations must be maintained by artists or experts with detailed instruc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investment in the work.

To better understand buyer groups for contemporary art, an analysis to the list of the most active 200 collectors in 2011 reported by Art News Magazine [1] has been included in this article (See Fig.1). In the article, Art News annually announces the top 200 collectors with the information of names, residences, professions, and areas of interest in collecting. This analysis help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art collectors.

The top chart pictured in Fig. 1 illustrates the places of residence of the world’s most active 200 collectors of 2011. However, the places in which less than four collectors reside have been omitted from the chart. Since the majority of collectors reside in more than two places, I counted each place as one. Therefore, the total number of the residences exceeds 200, the total number of collectors. Of the 200 collectors, 160 reside in the United States, and 63 reside in Europe. Within the US, 52 out of 200 collectors, more than a quarter, reside in New York City. This chart visualizes the concentration of art collectors in New York City.

However, methods Art News used to gathered the data around the world and its credibility is questionable. For instance, in the case of China, China was reported as the second largest country in the consumption of luxury goods totaling $ 9.4 billion in 2009, and accounting for 27.5% in global sales of luxury goods [2]. However, none of the 200 collectors resides in China except for two in Hong Kong and two in Taiwan. According to Skate’s Art Market Research on China in 2011 (http://skatesartinvestment.com), the art market in China is “one of the fast growing source of demand standing at the T-intersection of the ‘Japanese’ and ‘American’ ways [3].” Therefore, the data collected by art news is debatable, specifically the data that suggests that majority of “top” art collectors reside in the US.

The bottom chart of Fig. 3 illustrates the list of countries by the number of billionaires reported on the Forbes website (http://www.forbes.com/wealth/billionaires). Like the list of 200 art collectors, the majority of billionaires were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owever, the percentage of East Asian and unlisted countries in the list of billionair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200 collectors. While 9% of the 200 collectors were from East Asia and unlisted countries, 41% of 1,210 billionaires were from East Asia and unlisted countries. The discrepancy may be inferred due to two possible causes: 1) there were errors in the data or 2)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Western countries invest in art more than other countries.

Fig. 2. Professions of Top 200 Collectors [8]. The majority of collectors work in investment, real estate, and inheritance.

Fig. 2 indicates the professions of the top 200 collector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majority of collectors’ capital is supplemented by investment, real estate, and inheritance, rather than working salaried positions.

Fig. 3. The categorization of areas of interest in collection of the top 200 collectors [1].  The collectors’ interest in collection was categorized into four standards: Era, Place, Media, and Theory. The majority of categorization standard was by era. Of the 200 collectors, 159 were interested in contemporary art but only one collector was specifically collecting new media art. (NMA=New Media Art, OMA=Old Media Art)

Fig. 3 indicates the 200 collectors’ areas of interest in art collecting. Art News categorized areas of Art based on multiple standards: Era, Place, Media, and Theory. The meanings of the terms are sometimes ambiguous or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refore do not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certain collectors. For instance, while the area of interest of Pierre Chen was “Western and Chines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Chinese imperial porcelain and art,” Uli Knecht was interested in collecting “Contemporary art, especially Pop and German art.” The terms such as “Western,” “German,” “Pop,” and “Contemporary” have different standards of categorization, which make it difficult to analyze the list. In addition, statistics suggest that collectors tend to collect art works from their own countries or regions.

The majority of categorization methodologies used by Art News were based on eras such as “Contemporary,” “Modern,” “Postwar,” and “Old Masters.” Following eras, place is the second most popular methods to categorize collecting trends. It was observed that collectors tend to collect art from their place of residence. Third, some collectors collect works based on media, such as “Painting,” “Sculpture,” “Film/Video,” and “New Media.” Finally, some collectors collect art works based on theories, such as “Expressionism,” “Impressionism,” “Minimalism,” and “Feminism.”

In the top 200 collectors list, only one collector was specified as collecting new media art. While traditional media art such as sculpture and painting can be easily purchased by collectors, new media art is problematic in terms of its category due to the complexity of its output and the ephemeral nature of the medium.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top 200 collectors, the existing art collector model of art does not include new media art due to the difficulties of preservation of new media art as ephemeral cultural property. In conclusion, based on the lack of statistical data on new media art and its collectors, the new media art market is in need of new forms of sponsorship, which may be a project sponsor or a distributor.

[1]     http://www.artnews.com/2011/08/15/the-artnews-200-top-collectors-2011/ The ARTNews 200 top collectors, Summer 2011.

[2]     http://www.china-online-marketing.com/news/china-market-news/china-luxury-market-report/ China consumption of Luxury Goods.

[3]     http://skatesart.files.wordpress.com/2011/04/skates_market_notes-18-04-20112.pdf  Some Musings about the Future of the Chinese Art Market.

예쁜 작품이 좋은 미술일까 [KOR]

Published in C.A.N. Magazine [http://cicamuseum.com/article_01]
January 30, 2014

작품을 만들 때 작가는 종종 고민에 빠진다. 나를 표현할 것인가, 소비자를 고려할 것인가, 현대 미술의 맥락에서 만들어야 할까 – 그렇다면 현대미술의 맥락은 대체 무엇이며 서양에서 나온 현대미술의 맥락을 지구 반대편에 붙어있는 이 한국땅에서는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걸까.

사실상 현대미술은 몇몇 지역에 시장이 집중되어 있고 그 외 모든 지역은 그 조그만 지역들에서 무슨 일들이 벌어지는지 알고있지 않으면 안되는 기이한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단지 ‘미술’- Visual Art라면 얘기는 달라진다. 아마존 원주민도 흙바닥에 그림을 그리고 자신의 몸을 치장한다. 미술은 음식을 먹고 옷을 입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능적으로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게 되는 것이다. 어린 아이가 글도 배우기 전에 엄마를 그릴 줄 알며 청소년기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누구나 상대를 그리게 되는 것이다.

반면 현대미술 – Contemporary Art는 대체 무엇인가? 말을 직역하면 단지 현대의 미술이지만, 사실 이 단순한 단어 뒤에는 개인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하고 복잡하며 꼬일대로 꼬인 정치 문화 경제적, 또한 인종적 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많은 작가들이 음식을 먹고 잠을 자고 사랑을 하듯 타고난 재능에 의해 본능적 끌림으로 작가가 되겠다고 결심하지만, 대부분이 경험하는 것은 거대한 – 넘을 수 없는 벽이다. 지역적, 문화적, 인종적인 벽.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배경은 벽이 되어버린다.

‘작가’- Artist라는 환상은 누가 만들었나? 미국에서는 Artist와 artist를 의미적으로 구분한다. 소문자로 쓴경우 단순히 미술을 하는 사람을 의미하지만 Artist라는 것은 “예술가”를 의미하는데 즉, 무엇인가 ‘가치있는’ 미술을 한다는 것이다. 가치있다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인 개념이다. 내가 어려서 친구와 주고 받은 편지들이 나에게는 소중하고 가치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들에게는 그저 종이 조각일 뿐 아닌가. 결국 우리가 대단한 거장이라고 하는 몇 안되는 서양작가들의 습작, 물건 하나하나가 가치있는 이유는 그들의 흔적이 우리들의 흔적보다 더 “가치있다”고 누군가에게 배웠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현대미술과 서양미술사를 우리가 모두 무시하고 우리만의 미술을 발전시킬 수 있을까? 대답은 다양하게 나올 수 있겠지만 나의 개인적인 의견은 No이다. 역사의 맥락상 한국은 이미 서구화된 사회이다. 학문적 기반 또한 서양의 것으로 대체되고 우리는 서양의 ‘해석된’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교육받고 가치관을 형성했다. 또한 경제적인 관점으로 봤을때에도 현대미술 시장은 무시하기엔 너무 큰 시장이며 잠재적 파급효과 또한 엄청나다.

서양현대미술을 이해한다고 해서 우리의 색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공식을 완전하게 이해했을 때 그 겉모습만 흉내내는 것이 아닌 그 공식을 이용해 정말 우리의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현대미술의 공식이란 언어와도 같다. 그 틀은 이미 정해져있다. 어느정도 맞추어 주어야지 소통이 가능하다. 하지만 틀을 맞춘다고해서 내용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결국 현대미술을 배운다는 것은 지극히 사적인, 개인적인 이슈를 비밀스러운 언어로 표현하는 법과 또한 읽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 언어를 배우면 누구나 현대미술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봤을 때 “현대작품”이란 시각적 언어로 나누는 철학적인 대화이다. 작품에 들어가는 모든 요소는 작가가 관객에게 던지는 단어 또는 느낌 하나 하나이다. 관객은 작품을 시간을 두고 살펴보면서 그러한 의미와 느낌을 느껴보는 것이다. 영화에 멜로물만 있지않고 스릴러나 공포물, 액션 판타지도 있지않은가.

현대미술이란 삶을 다루는 언어와도 같아서 예쁜 작품도 있을 수 있고 우울한 작품도, 잔인한 작품도 있을 수 있다. 삶이 그러하듯 말이다. 현대미술이 모두 “예쁜 작품” 만 있다면 그것은 한가지의 사고방식과 양식을 한정짓는, 오히려 “현대미술”의 개념에 반하는 것이 된다. “예쁜 작품”을 만든다는 것은 오히려 소비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디자인에 가까운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즉 관객을 생각하게 하는 대화의 대상이 아닌, 관객을 보다 편안하고 만족감을 주는데 초점을 둔다는 의미이다.

Scroll to top